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美 관세 충격 D-7: 트럼프 15% 추가 관세 폭탄 앞둔 한국 경제
    경제뉴스 2025. 7. 17. 07:10
    반응형

    목차

    1. 트럼프 관세 정책의 전개 과정
    2. 한국 수출에 미친 충격 현황
    3. 업계별 대응 전략과 현황
    4.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
    5. 정부의 대응 방안
    6. 향후 전망과 과제
    7. 결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지혜 필요

     

    미국발 관세 충격이 한국 경제를 강타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시한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7월 8일 만료를 앞두고 있어, 1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미 자동차와 철강 업계는 25% 관세로 직격탄을 맞은 상황에서, 추가 관세까지 부과되면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상반기 수출이 간신히 버텨낸 상황에서 하반기 관세 본격 적용을 앞두고 있어,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1. 트럼프 관세 정책의 전개 과정

    3월부터 시작된 관세 폭탄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12일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관세 공세에 나섰습니다. 이어 4월에는 수입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 대상을 확대했습니다.

    현재 적용 중인 관세 현황:

    • 철강·알루미늄: 25% (기본관세 10% + 상호관세 15%)
    • 자동차: 25%
    • 반도체·의약품: 25% (트럼프가 예고한 추가 관세)
    • 기타 대부분 품목: 10% (기본관세만 적용, 7월 8일 이후 15% 추가 가능)

    상호관세 유예 만료 임박

    가장 큰 우려는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입니다. 현재 대부분 품목에 10%의 기본관세만 부과되고 있지만, 유예가 종료되면 1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어 총 25%의 관세 부담을 져야 합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최근 '추가 유예'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유예 기간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의 전개 과정

    2. 한국 수출에 미친 충격 현황

    상반기 수출 실적: 간신히 버텨낸 성과

    2025년 상반기 한국 수출은 334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03% 감소에 그쳤습니다. 미국발 관세 충격과 글로벌 경기 둔화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전년과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6월 단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하며 반등했지만, 이는 관세 본격 적용 전 사재기 효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업종별 명암 갈려

    반도체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수출을 견인했습니다. AI 반도체 수요 급증으로 메모리와 시스템 반도체 모두 호조를 보였습니다.

    반면 자동차와 철강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 대미 자동차 수출: 25% 관세로 타격
    • 철강: 중국산 저가 물량 공세와 미국 관세 충격으로 이중고
    • 현대제철은 인천공장 셧다운 등 원가절감에 나서는 상황

    한국은행의 경고 메시지

     


    3. 업계별 대응 전략과 현황

    현대차·기아의 선방

    놀랍게도 현대차와 기아는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역대 최다 판매를 기록했습니다. 관세 충격이 판매 실적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과는 다른 결과입니다.

    성공 요인:

    • 미국 시장 내 판매 가격 동결: 관세 부담을 기업이 흡수
    • 현지 생산 확대: 미국 내 부품 비중 40% 수준 유지
    • 브랜드 경쟁력: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

    하지만 연간 관세 부담이 최대 수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어 장기적 수익성 압박은 불가피합니다.

    철강업계의 고전

    중국산 저가 철강 물량 공세와 미국발 관세 충격이 겹치면서 철강업계가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건설 불황까지 겹쳐 내수 수요도 감소하는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현대제철의 인천공장 셧다운원가절감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업계 전반의 어려움을 상징합니다.

    업계별 대응 전략과 현황

     


    4.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

    GDP 성장률 하락 우려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에 따르면, 15%의 상호관세가 추가되면 실질 GDP가 최대 0.4%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내수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수출마저 타격을 받으면서 경제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달러 강세와 환율 압력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대규모 관세 정책 이후 달러가 12.3% 절상되면서 한국 등 신흥국 통화에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재편 가속화

    미중 무역전쟁에 이은 미국의 전방위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도 생산기지 다변화와 현지화 전략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입니다.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

     


    5. 정부의 대응 방안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

    이재명 정부는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 추진유예 연장의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상호이익이 되는 방안을 찾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협상을 통한 해결 의지를 밝혔습니다.

    비관세 장벽 해소 압박 대응

    미국은 관세 외에도 비관세 장벽 해소를 압박하고 있어 농업 분야 추가 개방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우협회 등 농축산업계는 '추가 개방 압력'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공청회장 앞 집회를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정부의 대응 방안

     


    6. 향후 전망과 과제

    하반기 더 큰 충격파 예상

    상반기는 관세 본격 적용 전 사재기 효과로 어느 정도 버텼지만, 하반기부터는 관세 효과가 본격 반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15%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 감소폭이 더 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산업별 차별화된 대응 필요

    반도체는 AI 수요 지속으로 상대적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자동차와 철강은 지속적인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시장 개척 시급

    미국과 중국 시장의 빈자리를 EU가 채우고 있는 상황에서, ASEAN과 EU 등 제3국 시장 확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수출 시장 다변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이 시급합니다.

    향후 전망과 과제

     


    결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지혜 필요

    미국발 관세 충격은 한국 경제에 단기적으로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15%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하반기 경제 전망이 더욱 어두워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처럼, 이번 관세 충격을 계기로 한국 경제의 체질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공급망 다변화, 기술력 제고, 새로운 시장 개척 등을 통해 대외 의존도를 낮추고 내재적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과 함께 기업들의 혁신적인 경영 전략이 결합된다면, 관세 충격을 극복하고 더 강한 경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미국 관세 충격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안 중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단기적 충격 완화와 장기적 경쟁력 강화 중 어느 것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보시는지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출처

    1. 노컷뉴스, "관세 폭풍에도…현대차·기아, 상반기 美시장서 역대 최다 판매" (원문 링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4040690)
    2. 뉴데일리경제, "다음주 美관세 15% 더? … 상호관세 만료 코앞인데 車·철강은 초토화" (원문 링크: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7/02/2025070200121.html)
    3. YTN 사이언스, "관세 악재에도 상반기 수출 '선방'...반도체 '역대 최대 실적'" (원문 링크: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hcd=&key=202507021105431101)
    📌 이 콘텐츠는 네이버 뉴스를 기반으로 블로그 스타일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경제 지식•뉴스 모음.zip